본문 바로가기
몰랐던것

계절별 혈압과, 고혈압은 얼마나 위험할까?

by sosohanwork 2024. 7. 9.
반응형

소소한 워크입니다. 계절별 혈압관리는 어떻게 하는지와 혈압별 위험성과 처치방법을 알아봅시다.

 

계절별 혈압 관리 방법

혈압은 기온, 활동량, 식습관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계절에 따라 혈압 관리 방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겨울

  • 낮은 기온: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따뜻하게 입기: 외출 시에는 따뜻하게 입고, 목도리, 장갑, 모자 등을 착용하여 체온 유지를 합니다.
    • 실내 온도 유지: 실내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하고,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를 피합니다.
    • 수분 섭취: 추운 날씨에는 목마름을 느끼지 않아도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 적은 활동량: 겨울철에는 활동량이 감소하여 혈압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 규칙적인 운동: 걷기, 가벼운 조깅, 수영 등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합니다.
    • 스트레칭: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을 풀어주고 혈액 순환을 개선합니다.

여름

  • 높은 기온: 여름철에는 기온이 높아 혈관이 확장되어 혈압이 하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과도한 활동 피하기: 덥고 습한 날씨에는 과도한 운동이나 노동을 피합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섭취합니다.
    • 소금 섭취 조절: 과도한 소금 섭취는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 탈수: 여름철에는 탈수로 인해 혈압이 급격히 하강할 수 있습니다.
    • 물, 전해질 음료 섭취: 물, 전해질 음료 등을 섭취하여 수분과 전해질을 보충합니다.
    • 케페인, 알코올 제한: 카페인과 알코올은 탈수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한합니다.

봄과 가을

  • 봄과 가을은 기온 변화가 잦아 혈압 변동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 계절 변화에 맞춘 관리: 봄에는 겨울철 관리 방법을, 가을에는 여름철 관리 방법을 참고하여 혈압을 관리합니다.
    •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면 등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합니다.

고혈압 환자의 계절별 관리

  • 고혈압 환자는 계절에 따라 혈압 변동이 더욱 심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혈압 측정: 혈압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합니다.
    • 약물 복용 조절: 계절에 따라 약물 복용량을 조절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의사 상담: 혈압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의사와 상담하여 맞춤형 관리 계획을 세웁니다.

주의 사항

  • 혈압 관리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혈압 따른 몸의 변화

120mmHg 미만/80mmHg 미만: 정상 혈압
범위 안에서는 혈압이 올라가고 내려갈 때 여기에 맞춰서 혈관이 수축 이완을 하면서 알아서 조직과 장기로 가는 혈액 공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를 합니다

120-129mmHg/80mmHg 미만: 혈관에 부담 시작, 약물 치료보다는 생활 습관 개선 권장
수축 기열 합이 129 올라가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점점 혈관에 부담이 가기 시작하고 이때부터 약간의 손상이 시작이 됩니다

130mmHg 이상/80mmHg 이상: 고혈압 1단계 진단, 동맥 벽 두꺼워짐, 심장 부담 증가, 약물 치료 필요
이제 공식적으로 고혈압 1단계 진단이 붙습니다.
여기부터는 이제 동맥의 벽이 점점 두꺼워지기 시작을 해요
그리고 동일한 약의 혈액 순환을 위해 심장에 가해지는 부담이 어 점점 올라갑니다
당연히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가 올라가겠죠
고혈압 1단계는 처음에는 약 없이 음식 조절 또는 운동 체중 감소를 통한 혈압 조절을 시도해 볼 수 있지만 실패할 경우 약물 치료를 통해 교정해 주셔야 하는 질환입니다

140mmHg 이상/90mmHg 이상: 고혈압 2단계 진단, 혈관 손상 및 심장 과부하 심화, 뇌, 심장, 눈, 혈관 손상 위험 급증, 적극적인 치료 필요
혈관 손상 및 변화 그리고 심장 과부하가 더 두드러질 뿐만 아니라
뇌 심장 눈 그리고 혈관의 손상 위험이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많은 고혈압 전문 의사들이 2단계 고혈압 2개의 약물을 처방하고 추천을 해요
그만큼 혈압을 빨리 많이 낮춰야 되기 때문이겠죠

hypertensive crisis(하이퍼텐시브 크라이시스)

그 다음은 3단계일까요? 아닙니다 hypertensive crisis(하이퍼텐시브 크라이시스)라고 합니다.

수축기혈압이 180 이상 이완기혈압이 120 이상인 경우를 말하죠
고혈압 2단계까지는 치료의 주된 목적이 만성 장기간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있었어요

이제부터는 그럴 여유가 없습니다 급성 합병증 예방이 1차 목표로 바뀝니다
즉각 치료를 받지 못하는 hypertensive crisis(하이퍼텐시브 크라이시스) 환자의 26.7% ~45.5% 뇌졸증 심장마비 또는 급성 심장 손상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경험합니다

** hypertensive crisis(하이퍼텐시브 크라이시스) 는 분명 응급 상황이에요

장기 손상 없이 혈압만 높은 상황을 hypertensive crisis 아고 하고요

가장 흔하게 손상되는 "뇌"

장기 손상이 동반이 되면 더 이상 Hi hypertensive crisis 아니라 hypertensive emergency고 합니다
"가장 흔하게 손상되는 장기가 바로 입니다"

전체 hypertensive emergency 환자에 28.1% 허혈성 뇌경색을 경험하고 14.6% 출혈성 뇌졸중 그리고 6.9% 정말 최악의 출혈이 인 지주막하출혈 이게 일종의 뇌출혈인지 바로 응급실로 오셔도 사망률이 30에서 50% 달하는 아주 무서운 출혈입니다

그 외에 어떤 출혈이나 경색이 딱 눈에 보이진 않지만 뇌 기능이 떨어지는 뇌병증 6.1% 발생을 합니다

다음으로 흔하게 손상되는 장기 "심장"입니다


온몸에 혈액을 보내주는 심장도 모든 장기와 마찬가지로 혈액 공급을 받아야 되고 산소 공급을 받아야 돼요
심장의 혈액을 공급해 주는 혈관을 관상 동맥이 하거든요
그런데 혈압이 높게 유지가 되면이 관상동맥 맥이 손상을 받으면서 점점 좁아져요
그러면 최종적으로 어떤 그림이 완성되면 혈압이 높기 때문에 심장은 더 많은 일을 해야 하고 그래서 관상동맥을 통해 더 많은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아야 하는데 관상동맥이 좁아요
그래서 충분한 산소가 전달이 안 되고 혈액 공급 없이 산소 없이 일만 열심히 하던 심장의 세포들이 죽기 시작합니다

드라마에서 보는 예와 그 밖에 합병증

이게 바로 심근 경색이 드라마를 보면 막 재벌 회장님과 그 아들이 막 다투다가 말다툼을 하다가이 막 막 갈등이 막 클라이맥스로 가면서 회장님이 윽하고 가슴을 켜지고 쓰러지자아요 막 싸우고 소리 지르고 하면서 혈압도 올라가고뿐만 아니라 심장 박동지 빨라지면서 심장에서 요구하는 산소량이 올라가고 어 그러다가 심근 경색 심장 마비가 온 겁니다 뭐 그런 설정일 거예요 하퍼 tensive emergency 환재 10.8% 이런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경험합니다

다음으로 흔하게 손상되는 장기는 "폐"입니다

관상동맥 문제가 꼭 아니더라도 심장 기능이 떨어지는 심부전이 발생을 할 수 있고요
그래서 혈액이 정상적으로 순환을 못 하잖아요
그러면이 혈액들이 어딘가로 가서 쌓여요 원래 그렇게 됩니다

근데 그 그게 어디냐면 입니다
그래서 폐의 무리 차는 폐부종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심부종 폐부종이 발생하는 환자가 hypertensive emergency 환자의 1/4 을 차지합니다

그 밖에 합병증

그 외에 무서운 드문 합병증으로는 대동맥이 찢어져 버리는 대동맥 방리 약 1.8% 차지하죠

그리고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신부전이 약 8% 차지하고 있습니다 hypertensive crisis 를 경험하고 있는 환자분들이 이런 무서운 합병증들을 예방하기 위해 부지런히 응급실에 갑니다

응급환자 처치요령


그런데 의사들이 혈압을 빨리 안 낮춰 줘요 경험해 보신 분들은 아실 거예요
의사들이 혈압을 빨리 정상으로 안 만들어 주고 150에서 160까지 낮춘 다음에 빨리 치료를 안 해 줍니다

왜 그럴까요 혈압이 아주 높은 상태에서는 뇌 혈관의 어떤 출혈 그리고 뇌 손상을 막기 위해서 뇌 혈관들이 아주 꽉 수축한 상태로 버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버티고 있던 혈관들이 혈압이 낮아지자아요

그러면 빨리 이완을 해야 될 거 아니에요 근데 이거를 빨리 못 해요 이런 사실을 잘 모르고 초보 의사가 혈압을 빨리 고쳐 주겠다고 정상으로 확 만들어 버리잖아요

그러면 텐션이 여기까지 올라가 있던 혈관 벽의 근육들이 혈관을 확 틀어막아 버리면서 혈류를 막아 버릴 수가 있어요

이렇게 허혈성 뇌경색이 발생하는 겁니다

그래서 수축기 혈압이 200인 환자가 응급실로 오잖아요
그러면 첫 한 주 시간 동안은 혈압을 170 위로 일부러 유지를 해요
그리고 첫 24시간 동안은 150 위로 유지를 합니다
다음날 환자 상태 보고 괜찮으면 이제 120 가까이로 낮춰 줍니다

어 병원 가셨는데 의사가 혈압 빨리 안 잡아 준다고 막 실력 없는 의사라고 화내거나 무시하거나 그러시면 안 됩니다 혈압이 올라감에 따라 우리 몸에 생기는 변화 그리고 발생할 수 있는 급성 합병증들이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